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주식가치평가핵짐지표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PERPBR입니다.
    “이 기업은 PER이 낮다”, “PBR이 1배 미만이라 저평가다” 같은 표현을 뉴스나 리포트에서 자주 보셨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PER과 PBR의 개념, 계산법, 해석 방법을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PER이란? (주가수익비율)

     

     

    PER (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 대비 몇 배로 거래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계산식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시)

    • A기업 주가 = 50,000원
    • EPS(주당순이익) = 5,000원
    • PER = 50,000 ÷ 5,000 = 10배

    ➡️ A기업은 연간 이익의 10배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PER 해석

    • 낮은 PER: 이익 대비 주가가 낮음 → 상대적으로 저평가 가능성
    • 높은 PER: 이익 대비 주가가 높음 → 성장 기대감 반영

    단, 산업마다 적정 PER이 다르므로 동종 업종 비교가 필수입니다.


    2. PBR이란? (주가순자산비율)

    PBR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청산가치) 대비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계산식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예시)

    • A기업 주가 = 50,000원
    • BPS(주당순자산) = 25,000원
    • PBR = 50,000 ÷ 25,000 = 2배

    ➡️ 기업 자산가치의 2배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PBR 해석

    • PBR < 1배: 회사 자산가치보다 주가가 낮음 → 저평가 가능성
    • PBR > 1배: 자산가치보다 높게 거래 → 시장에서 미래 성장성 기대

    3. PER·PBR 함께 보는 이유

    PER과 PBR은 단독으로 보기보다는 함께 해석해야 더 정확합니다.

    • PER 낮음 + PBR 낮음 → 전통적 저평가주 (가치투자 매력)
    • PER 높음 + PBR 낮음 → 일시적 이익 감소 기업 (경기 회복 시 반등 가능)
    • PER 낮음 + PBR 높음 → 자산 많지만 이익률 낮은 기업
    • PER 높음 + PBR 높음 → 성장주, 미래 기대가 큰 기업

    4. PER·PBR 투자 활용법

    1. 동종 업종 비교 필수
      (예: IT업종은 PER 높게, 은행업은 낮게 형성되는 경향)
    2. 역사적 평균과 비교
      해당 기업의 과거 5~10년 평균 PER·PBR과 비교
    3. 저평가 신호 활용
      PER·PBR이 낮고,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면 투자 기회
    4. 성장주 주의
      PER이 높더라도 꾸준한 매출·이익 성장이 뒷받침되면 정당화 가능

    ✅ 마무리

     

     

    • PER은 “이익 대비 주가가 몇 배인가?”
    • PBR은 “자산 대비 주가가 몇 배인가?”
      두 지표는 주식이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가늠하는 나침반입니다.

    👉 단, 숫자만 맹신하지 말고 산업 특성 + 기업 성장성 + 시장 분위기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반응형